본문 바로가기
일상

💰 “나한테 2억이 있다고요?”…잊힌 주식 433억원어치, 주인 품으로

by thisdaylog 2025. 10. 23.
반응형

 

금융서류와 주식증서를 들고 미소 짓는 남성의 모습, ‘잊힌 주식 433억 주인 품으로’라는 문구가 들어간 금융뉴스형 썸네일

한때 투자했던 주식을 잊은 채 살아가던 사람들에게 뜻밖의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원)이 주최한 ‘2025 미수령주식 찾아주기 집중 캠페인’을 통해 총 433억 원 규모의 잊힌 주식이 주인 품으로 돌아간 것이다.


📈 5주간의 캠페인으로 2135명에게 돌아간 433억 원

예탁원은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일까지 5주간 진행한 캠페인을 통해 총 2135명의 주주에게 주식 및 대금 약 433억 원(주식 431억 원, 배당금 2억 원)을 돌려줬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실제 거주지를 추적하고, 상장기업 10개 사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실명번호 오류·주소 변경·사망 등으로 통지조차 받지 못했던 장기 미수령 주주들에게도 자산이 돌아갔다. 특히 비실명 계좌나 우리사주조합 명의로 남아 있던 약 711만 주의 주식이 이번에 정리되어 개인 명의로 교부됐다.


📬 잊힌 주식이 생기는 이유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존재를 잊는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 주소 변경 후 우편 미수령 — 우편 안내가 이전 주소로 발송되어 통지 누락
  • 📍 비상장 → 상장 과정 인지 부족 — 과거 비상장 주식이 상장되었지만 소유자가 모르고 방치
  • 📍 상속 미정리 — 고인의 명의로 남은 주식을 상속인이 확인하지 못한 경우
  • 📍 실명번호 오류 — 과거 주민번호 정정, 이중계좌, 미등록 정보 등으로 조회 불가

실제로 이번 캠페인에서 한 40대 주주 A 씨는 “캠페인 안내문을 받고 예탁원을 방문했다가 1년 전에 상장된 기업의 주식을 2억 원어치 찾았다”며 “이 돈으로 아이 학자금에 보탤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 내 이름으로 된 잊힌 주식, 이렇게 찾는다

① 한국예탁결제원 ‘미수령 주식 찾기’ 서비스 이용

예탁원 공식 홈페이지(https://www.ksd.or.kr)에서 ‘미수령 주식 및 배당금 조회’ 메뉴를 클릭한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나 금융인증서를 이용해 본인 확인 후 본인 명의로 보유한 미수령 주식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상속인 조회 서비스

고인의 명의로 남은 주식이 있다면 상속인은 예탁원 ‘상속인 조회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가족관계증명서, 사망진단서 등을 제출하면 상속 가능한 주식과 배당 내역이 안내된다.

③ 자동입금(계좌연결) 신청

향후 배당금이 자동으로 입금되도록 ‘계좌자동입금제도’를 신청할 수 있다. 이 절차를 등록하면 배당금이나 미수령 주식이 은행 계좌로 자동 연결되어 분실 위험이 줄어든다.


🏦 캠페인의 의미 – “잊힌 자산, 다시 국민 품으로”

예탁원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주주의 권리를 회복하고, 잊힌 자산이 다시 가계로 돌아가는 선순환 효과를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상속·비실명 주주 등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단순한 홍보를 넘어, 금융 접근성·정보 사각지대 해소라는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주소나 실명 정보 하나로 자산이 묶여버리는 현실에서 예탁원의 캠페인은 ‘숨은 돈 찾기’의 대표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 결론 – 내 이름의 주식, 다시 확인해볼 때

당신의 이름으로 등록된 주식 중에는 잊힌 계좌 속에서 잠들어 있는 자산이 있을 수도 있다. 주식·배당금뿐 아니라 상속주식까지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히 조회할 수 있으니 오늘 바로 확인해 보는 건 어떨까?

잊힌 주식이 돌아오는 순간, 그건 단순한 돈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나의 투자 기억이 다시 내 손으로 돌아오는 일이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