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재테크 트렌드] 모임통장 진화의 끝은 어디까지? 우리 모임에 딱 맞는 혜택 총정리

by thisdaylog 2025. 9. 24.
반응형

 

친구, 동호회, 가족, 직장 모임 등 공동 자금을 관리할 때 흔히 사용하는 모임통장이 최근 금융권의 새로운 격전지가 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회비를 모으는 기능을 넘어, 자동납부·캐시백·우대금리·생활 밀착 서비스까지 탑재하며 빠르게 진화 중입니다.

카카오뱅크를 시작으로 제2금융권, 저축은행까지 잇따라 시장에 뛰어들면서, 소비자는 어떤 혜택을 고를지 즐거운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은행과 금융기관이 선보이는 모임통장 특징과 혜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카카오뱅크, 모임통장 원조의 위력

카카오뱅크는 모임통장의 원조라 불립니다.

  • 잔액: 10조 원 돌파
  • 고객 수: 1200만 명
  • 모임 체크카드 발급량: 1년 만에 100만 장

가장 큰 장점은 모임 활동에 최적화된 사용성입니다.

  • 모임 체크카드 사용 시 5만 원 이상 결제마다 3000원 또는 300원 캐시백 (한도 없음)
  • 연내 적용 예정: AI 모임총무 서비스 → 회비 관리 자동화

즉, 단순한 계좌가 아니라 ‘모임 전용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 MG 새마을금고, 후발주자의 공격적 이벤트

MG 새마을금고는 2025년 8월 말 처음 모임통장을 출시했습니다.

  • 9월 이벤트: 가입 후 2명 이상 모임 구성 + 1원 이상 입금 → 추첨 통해 스타벅스 1만 원권 증정 (1000명)
  • 10월 이벤트: 월평균 잔액 10만 원 이상 유지 → 모임지원금 5만 원 지급

이벤트 중심 혜택으로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선 모습입니다.


3. 신한은행 SOL모임통장, 부부·커플 특화

신한은행은 SOL모임통장을 통해 부부 및 커플 고객을 집중 공략했습니다.

  • 첫 화면에서 거래 내역 바로 확인
  • 공과금·지방세 자동납부 지원
  • 출시 기념: 11월 말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선착순 쿠폰 제공

생활 자동화 서비스이벤트 혜택을 동시에 잡으려는 전략입니다.


4. NH농협은행,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강조

농협은행은 NH올원모임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 더치페이 기능 (각자 내기) 지원
  • 농촌 숙박·체험, 플라워 서비스 등 생활형 혜택 제공
  • 9월까지 선착순 최대 100만 원 모임지원금 지급

모임통장을 여가·체험 서비스와 결합한 점이 특징입니다.


5. 토스뱅크, 관리비 자동납부

토스뱅크는 모임통장에 아파트 관리비 자동납부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 관리비처럼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모임통장으로 처리
  • 회비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실용적인 개선

6. iM뱅크, 우대금리와 수수료 혜택

iM뱅크는 올해 초 모임통장을 개편하면서 파킹통장형 금리 혜택을 결합했습니다.

  • 100만 원 이상~500만 원 이하 잔액 → 연 1.00% 포인트 우대금리
  • 모임원 자동이체 등록 시 인원당 0.20%포인트 추가 (최대 연 2.01%)
  • 전자금융 수수료·현금 출금 수수료 면제

즉, 재테크 기능까지 챙긴 모임통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7. 저축은행, 고금리 무기로 합류 예정

저축은행 업계도 ‘SB톡톡 플러스’ 앱을 통해 모임통장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 전국 67개 저축은행 통합 앱 → 접근성 확대
  • 후발주자이지만 높은 금리로 고객 유치 기대

저축은행의 강점은 ‘이자 혜택’이므로 고금리 중심 상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모임통장은 이제 단순히 돈을 모으는 계좌가 아닙니다.

  • 카카오뱅크: 원조 브랜드 파워 + AI 기반 자동화
  • MG 새마을금고: 이벤트 중심 고객 유치
  • 신한은행: 생활 납부 기능과 커플 특화
  • 농협은행: 여가·체험 서비스 연계
  • 토스뱅크: 관리비 자동납부 기능
  • iM뱅크: 금리 우대 + 수수료 면제
  • 저축은행: 고금리 경쟁

즉, 모임통장은 편의성·혜택·재테크 기능을 모두 탑재한 ‘종합 금융 상품’으로 진화 중입니다. 앞으로는 AI,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되어 더 정교한 자금 관리까지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