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냉장고에 있다면 다 버려라"…젊은 유방암 위험 높이는 가공육

by thisdaylog 2025. 10. 1.
반응형

 

최근 서울대 연구진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햄·소시지·베이컨 등 가공육을 자주 먹는 여성은 유방암 발병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50세 미만 여성에서 위험도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면, 소고기 섭취는 오히려 유방암 발병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 연구 개요

  • 대상자: 40~69세 여성 71,264명
  • 추적 기간: 2004~2013년 (10년간)
  • 발병자: 유방암 신규 진단 713명 (1%)
  • 결과:
    • 가공육을 주 1회 이상 섭취한 여성 → 유방암 발병 위험 57% 증가
    • 특히 50세 미만 여성에서 더 뚜렷한 증가

🥓 가공육, 왜 위험할까?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이미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그 근거를 한국 여성 대상 데이터로 다시 확인한 셈입니다.

  • 질산염·아질산염 → 체내에서 발암성 물질 ‘니트로소화합물(NOCs)’로 변환 → DNA 손상·돌연변이 유발
  • 고온 조리 시 발생 물질:
    • 헤테로사이클릭 아민(HCAs)
    • 다한방향족탄화수소(PAHs)
      이들 역시 유방 조직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소고기는 왜 다른 결과가 나왔을까?

연구팀은 소고기가 오히려 발병 확률을 18% 낮춘다는 데이터를 관찰했습니다.

  • 한국 여성의 소고기 섭취량은 서구에 비해 훨씬 적음
  • 소고기에 포함된 필수 아미노산이 호르몬 조절, 염증 억제, 대사 과정에 긍정적 작용 가능
  • 소고기 섭취가 영양 상태·의료 접근성을 반영하는 사회경제적 지표일 가능성

📈 유방암 환자 증가 추세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김예지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 2023년 여성 유방암 진료 인원: 30만 7,910명
    → 전년(28만 9,514명) 대비 6.4% 증가
    → 2015년(15만 7,373명)과 비교하면 95.7% 급증

연령별 비중:

  • 50대: 34.6%
  • 60대: 27.7%
  • 40대: 20.0%
  • 70대: 11.2%
  • 30대: 3.3%
  • 80대: 2.8%
  • 20대: 0.3%

➡ 특히 **40~50대 중장년층이 전체의 54.6%**로 절반 이상 차지


✅ 정리 & 예방법

  • 가공육은 젊은 여성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
  • 소고기는 한국인의 식습관 특성상 일부 보호 효과 가능성 제시
  • 전문가 권고:
    • 가공육 섭취 줄이기
    • 채소·과일 중심의 균형 잡힌 식단 유지
    • 정기 검진 및 건강한 생활 습관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