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겉으론 멀쩡한데 30대 급사를 부른다…‘비후성 심근병증’ 조용한 살인자의 실체

by thisdaylog 2025. 11. 13.
반응형

 

“비후성 심근병증의 위험성과 급사 연관성을 설명하는 심장 이미지 그래픽”

 

 

 

 

겉으론 멀쩡한데 30대 급사를 부른다…‘비후성 심근병증’ 조용한 살인자의 실체

평소 건강하다고 믿었던 20~30대에서 갑작스러운 실신이나 급사가 발생하면 주변 사람들은 하나같이 “겉으로는 아무 문제없어 보였다”라고 말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비후성 심근병증(HCM)입니다.

이 질환은 겉모습이나 평상시 생활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심장을 갑자기 멈추게 할 정도로 치명적인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30세 이전 급사 원인 1위라는 사실만 봐도 얼마나 위험한 질환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비후성 심근병증이 무엇인지, 왜 위험한지, 그리고 어떻게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깊이 있게 정리해 드립니다.


📌 비후성 심근병증이란? 심장근육이 ‘이유 없이’ 두꺼워지는 병

 

우리의 심장은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끊임없이 수축·이완을 반복합니다. 그런데 심장 벽(심근)이 정상 두께보다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현상이 나타날 때 이를 비후성 심근병증이라고 합니다.

의학적으로는 심근 두께가 15mm 이상일 때 진단 기준을 충족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 두꺼워진 심근이 심장의 정상적인 운동을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 혈액이 나가는 길이 좁아져 심장이 더 강한 힘을 써야 하고
• 심장의 리듬이 흐트러져 부정맥을 유발하며
• 특정 상황에서는 치명적인 심실성 부정맥으로 번져 돌연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비후성 심근병증은 겉으론 멀쩡하지만 속은 위태로운 질환이라 불립니다.


📉 30세 이전 급사의 가장 흔한 원인… 왜 젊은 층이 위험할까?

 

많은 사람들은 ‘심장병=고령층’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후성 심근병증은 오히려 젊은 층에서 더 많이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30세 이전 돌연사의 가장 흔한 원인 1위가 바로 비후성 심근병증입니다.

왜 젊은 층이 위험할까요?

  • 젊기 때문에 평소 증상이 거의 없고
  • 운동량이 많아 심장에 부담이 증가하며
  • 겉으로 건강해 보여 조기검진을 놓치고
  • 가족력 여부조차 모른 채 생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체육활동이 많은 10~30대에게서 경미한 비후라도 갑작스럽게 심실성 부정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얼마나 흔한 질환일까? 생각보다 많다…500명 중 1명꼴

 

비후성 심근병증은 ‘드물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500명 중 1명에게 나타날 정도로 흔한 편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환자가 전혀 증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진단 자체가 늦어지고, 첫 증상이 곧 실신 또는 급사가 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진단되는 경우 대부분은 다음 두 상황 중 하나입니다.

  • 건강검진에서 심전도·심초음파 이상 발견
  • 가족 중 갑작스러운 사망이 발생해 가족검사에서 발견

⚠ 급사 위험을 높이는 ‘고위험 신호’ 5가지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 모두가 급사 위험이 높은 것은 아니지만 다음 조건을 가진 환자는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 돌연사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심근 비후 정도가 심한 경우
  • 운동 시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 홀터 검사에서 심실성 빈맥이 관찰되는 경우
  • 좌심실 유출로 폐쇄가 있는 경우

이 중 하나라도 있다면 정기적인 심장 영상 검사와 심장전문의의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수입니다.


🩺 어떻게 진단할까? MRI·초음파로 심근 두께와 구조 확인

 

비후성 심근병증은 다음과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심장초음파(Echo) — 심근 두께·혈류 흐름 확인
  • 심장 MRI — 심근 섬유화·지방 변성까지 정밀 분석
  • 홀터 심전도 — 부정맥 발생 여부 평가

MRI에서 심근 섬유화가 발견되면 부정맥 발생 위험이 높아 예방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치료는 어떻게? 약물 → 시술 → 수술까지 단계별 접근

 

비후성 심근병증의 치료 목적은 증상 완화 + 합병증 예방 + 돌연사 방지입니다.

① 약물치료

• 심박수를 낮추는 약물 • 심근 이완을 촉진하는 약물 대부분 이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합니다.

② 비수술적 시술

심장의 특정 부위에 알코올을 주입해 두꺼워진 근육을 부분적으로 위축시키는 방법입니다.

③ 수술적 치료

두꺼워진 심근 일부를 절제해 혈류가 나가는 길을 확보하는 수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④ 심실제세동기(ICD) 삽입

돌연사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치명적 부정맥 발생 시 자동으로 심장을 리셋해 주는 이식형 제세동기를 예방적으로 삽입하기도 합니다.


🏃‍♂️ 운동은 가능할까? 가능한데 ‘강도 관리’가 중요하다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라 해서 평생 운동을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운동은 도움이 됩니다.

  • 걷기
  • 요가
  • 가벼운 자전거 타기

다만 최대심박수의 70%를 넘는 고강도 운동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의료진의 평가 아래 개별 맞춤 강도로 시작해야 합니다.


⚡ 가족력이 있다면? 보호자도 ‘심폐소생술·AED 사용법’ 필수

 

비후성 심근병증은 가족력 비중이 큰 질환입니다. 따라서 환자뿐 아니라 주변 가족들이 심폐소생술(CPR)과 자동제세동기(AED) 사용법을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

돌연사의 대부분은 몇 분 안에 생사가 갈리는 만큼 즉각적인 응급 처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