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2026 수능 국어 17번, 정답이 없다?” 포항공대 철학 교수가 제기한 문제 오류 논란의 핵심

by thisdaylog 2025. 11. 19.
반응형

“수능 국어 17번 논란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철학 개념과 시험지 이미지가 결합된 썸네일”

 

 

“수능 국어 17번, 정답이 없다?” 포항공대 철학 교수가 제기한 문제 오류 논란의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힌 17번 문항이 다시 한번 수험생·학부모·입시업계의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포항공대(포스텍)의 철학자, 이충형 교수가 있다. 이 교수는 “17번에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밝히며 논쟁의 불씨를 지폈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문제가 어렵다” 수준이 아니다. 문항의 구조적 타당성, 지문 해석의 논리적 일관성, 국어 시험의 출제 방향성 등 교육 전반의 기준을 묻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 17번은 어떤 문제였나? 철학자 칸트의 ‘인격 동일성’을 둘러싼 고난도 문항

 

문항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 등 여러 사상가의 ‘인격 동일성’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

  •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존재가 “본래의 나”인가?
  • 의식의 지속이 인격 동일성의 기준이 되는가?
  • 칸트 이전 철학자들은 무엇을 동일성의 기준으로 삼았는가?

지문은 여기에 대해 복잡한 철학적 개념들을 제시하고, 학생이 이를 정확히 이해한 뒤 보기에서 ‘갑’의 입장과 연결하여 적절한 답을 고르도록 요구한다. 평가원과 EBS는 정답을 3번으로 제시했다.


📌 그러나 포항공대 교수는 “정답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충형 교수는 해당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나는 전공자인데도 지문 이해에 20분이 걸렸다. 그런데 학생들에게 단편적 퍼즐 맞추기를 요구하는 이 문제는 교육 목적에 맞는가?”

1) “정답인 3번은 성립할 수 없다”는 주장

지문에 따르면, 칸트 이전까지의 인격 동일성 이론은 ‘생각하는 나(영혼)’이 단일한 주체로 지속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그런데 문제의 상황에서는 프로그램에 의해 사고가 재현될 뿐, 영혼이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갑의 논지는 오히려 “옳다”라고 봐야 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2) 지문이 연결하지 않은 개념을 임의로 연결해 정답을 도출한 문제의 구조적 문제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나 = 영혼”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등식은 지문에도 보기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즉, 지문이 제공한 정보만으로는 3번을 ‘정답’으로 확정할 논리적 다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이를 두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a=b고, a가 C이면 b도 C이다… 이렇게 단순 논리로 풀 수 있다고 보겠지만, 문제는 그렇게 구성되지 않았다.”


📌 “정답은 3번일 수도 있다. 하지만 ‘3번이 틀렸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 없어야’ 진짜 정답이다”

 

이 교수의 핵심 문제 제기는 여기에 있다.

시험 문제에서 정답이란, 정답이 되는 선택지 하나가 존재하는 것뿐 아니라, 나머지 선택지가 틀렸다는 논증이 함께 성립해야 한다.

그러나 이 교수의 논리에 따르면, 17번 문항은 3번 선택지가 ‘맞다’고 볼 근거가 존재할 수 있는 동시에 ‘3번이 아닐 수도 있다’는 반론도 지문 안에서 충분히 제기될 수 있으므로 문항 자체가 “정답을 단정할 수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 수험생들 사이에서도 “17번은 이상했다”는 반응 속출

 

수능 직후 커뮤니티와 입시 카페에는 다음과 같은 의견이 이어졌다.

  • “지문보다 보기가 더 난도 높았다.”
  • “국어가 아니라 철학 논문을 읽는 줄.”
  • “추론 불가능한 연결고리를 학생에게 요구한 문항.”

특히 “칸트 이전 견해”와 “갑의 입장”의 관계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지문·보기 간의 정보 연결이 느슨해 “정답 구별이 불가능했다”는 평이 많았다.


📌 이의제기 결과는 어떻게 될까?

 

평가원은 17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을 검토해 오는 25일에 최종 정답을 확정한다.

전문가들은 “정답 변경 가능성은 낮다”라고 보지만, 이번 논란은 향후 수능 출제 방향과 철학·논리 문제 배치 방식에 대해 더 깊은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정리하자면

 

수능 국어 17번 문항 논란은 단순한 난도 문제를 넘어서 출제 논리의 타당성국어 시험에서 철학적 추론 문제의 적절성을 둘러싼 논쟁이다.

포항공대 철학 교수의 지적은 단순한 이의 제기가 아니라, “학생에게 무엇을 묻고 싶은가? 그 방식이 정말 교육적으로 유의미한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