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퇴직금, 일시에 받으면 30% 손해라고? 건강보험료까지 줄이는 합법 전략 공개

by thisdaylog 2025. 11. 6.
반응형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받을 경우 세금 30% 절감과 건강보험료 부담 완화 혜택을 강조하는 일러스트 썸네일, 은퇴자가 돈과 달력을 들고 있는 장면

 

 

“목돈이냐, 매달이냐.” 정년을 앞두고 가장 많이 받는 질문입니다. 겉으로는 단순해 보이지만, 세금·건강보험료·운용수익 과세까지 계산하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당장 큰 지출이 없다면 ‘연금으로 나눠 받기’가 대부분 유리

합니다. 왜냐고요? 연금 수령은 퇴직소득세의 70%만 부담하는 구조라 일시금 대비 세금 약 30% 절감 효과가 즉시 발생하고, 퇴직 이후 지역건강보험료 부담도 낮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 세금 절감 : 연금 수령 시 퇴직소득세의 70% 수준인 연금소득세 적용 → 일시금 대비 약 30% 절세.
  • 건강보험 : 지역가입자 전환 후에도 연금계좌 운용수익은 건보료 산정 소득에서 제외 → 부담 완화.
  • 운용수익 과세 : 일시금으로 받아 예금·펀드에 넣으면 보통 15.4% 과세, 연금계좌 안에서는 3.3~5.5%로 경감.
  • 설계 자유도 : 정액(기간지정)·자유인출 혼합 가능, 세액·현금흐름에 맞춰 연 1회~12회 지급 주기 설계.

2) 왜 ‘연금 수령’이 30% 절세가 되나 — 세제의 구조 이해

 

퇴직급여는 원칙적으로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이를 일시금으로 받으면 퇴직 시점에 원천징수로 즉시 납부하죠. 반면 연금으로 받으면 같은 돈인데도 과세체계가 연금소득세로 바뀝니다. 세율은 퇴직소득세의 70% 수준으로 경감됩니다. 즉, 세율 구조 자체가 연금 수령을 우대하도록 설계돼 있어 제도적으로 ‘연금 선택=절세’가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구분 일시금 수령 연금 수령 핵심 포인트
적용세목 퇴직소득세 (즉시 원천징수) 연금소득세 (퇴직소득세의 약 70%) 세부담 약 30%↓
운용수익 과세 일반 금융상품 15.4% 과세 연금계좌 3.3~5.5% (연령·수령기간 등 요건) 과세 최소화
건강보험료 영향 금융소득 연 1,000만 원 초과 시 반영 연금계좌 운용수익은 건보료 산정에서 제외 지역가입자 부담 완화

숫자로 느낌을 잡아볼까요? 예컨대 퇴직급여 1억 원을 가정하면, 단순 비교 시 일시금은 퇴직소득세 전액을 즉시 납부하지만, 연금은 같은 원천이 연금소득세(퇴직세의 70%)로 전환되어 누진부담·현금흐름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더 나아가 연금계좌 내에서 운용하면 이자·배당 수익 과세도 15.4% → 3.3~5.5%로 낮아지죠.


3) 건강보험 지역가입 전환 후, 왜 부담이 낮아지나

 

직장가입자에서 은퇴해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소득·재산 항목이 건강보험료 산정에 반영됩니다. 이때 금융소득(이자·배당)이 연 1,000만 원을 초과하면 건보료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금계좌 안에서 발생하는 운용수익은 건강보험료 산정 소득에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동일한 자금이라도 연금계좌에 두면 건보료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생깁니다. 은퇴 초기의 현금흐름 안정과 맞물려 실제 체감효과가 큰 부분입니다.


4) 누구나 다 연금이 유리한가? — 체크리스트로 판단

 

연금 수령이 ‘원칙적으로’ 유리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로 자신의 상황을 점검해 보세요.

  • □ 은퇴 직후 주택·대출 상환 등 목돈이 꼭 필요한가?
  • □ 향후 5년 내 대규모 지출(자녀 혼사, 부모 병원비 등) 예정이 있는가?
  • □ 현재 다른 연금(국민·퇴직·개인연금)과의 월 현금흐름이 충분한가?
  • □ 지역건보 전환 후 건보료 부담이 민감한가?
  • □ 투자경험이 적어도 연금계좌의 안정형 운용으로 만족할 수 있는가?

위 항목 중 목돈 수요가 크면 일부만 일시금으로, 나머지는 연금으로 섞는 하이브리드 설계가 답이 됩니다.


5) 실전 설계: IRP·연금저축 어디로 받을까

 

퇴직급여를 연금으로 받으려면 계좌가 필요합니다. 선택지는 연금저축 또는 개인형 퇴직연금(IRP)입니다(55세 이전 퇴직 시는 IRP만 가능). 가입 후 5년 경과해야 연금 개시가 가능하며, 그 안에서도 연금수령한도 범위에서 인출해야 가산세 리스크가 없습니다.

  1. 계좌 개설 : 이미 보유한 IRP/연금저축 점검 → 수수료·상품 라인업 비교
  2. 이체 : 퇴직급여를 연금계좌로 이전(퇴직소득세 이연 구조 유지)
  3. 운용 : 안정형(예·적금·채권) 중심 + 시장 상황에 따라 분산
  4. 개시 : 55세 이상 & 가입 5년 경과 → 기간지정(정액) 또는 자유인출 선택
  5. 세무·건보 점검 : 연금 수령액·다른 소득과 합산해 세율·건보료 영향 모니터링
팁: 연금 개시 후에도 연 1회 지급로 설정하면 과세최소화·건보료 관리에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생활비가 필요할 때만 자유인출을 섞고, 나머지는 계좌 내에서 운용하면서 과세·건보료 노출을 낮춥니다.

6) 예시 시나리오 — 감으로 이해하는 절세·건보 효과

 

사례 A. 58세, 퇴직급여 1억 5천만 원, 대출 상환 계획 없음, 국민연금 63세 개시 예정.

  • 전략 : 전액 연금계좌 이전 → 10년 기간지정 + 자유인출 보조
  • 효과 : 퇴직소득세 대비 약 30% 절감(연금소득세 전환), 운용수익 과세 3.3~5.5%로 인하
  • 건보 : 운용수익은 건보료 산정 제외 → 지역건보 부담 안정화

사례 B. 60세, 퇴직급여 2억 원, 즉시 전세보증금 보전 7천만 원 필요.

  • 전략 : 7천만 원만 일시금, 1억 3천만 원은 연금계좌로 이전(하이브리드)
  • 효과 : 생활자금 충당 + 잔액은 세제우대·건보 혜택 유지

7) 흔한 실수와 피하기

 

  • ① 한 번에 빼기 : 연금계좌로 옮겨놓고도 조급해서 일시 인출 → 세제혜택 상실 가능.
  • ② 수수료·상품 점검 누락 : 연금은 장기전. 관리보수·ETF 라인업·예치금 금리 꼭 비교.
  • ③ 건보료 계산 무시 : 은퇴 직후 건보료는 체감 부담이 큽니다. 연금계좌 내 운용으로 노출 최소화.
  • ④ 가족 합산 전략 부재 : 부부 소득·연금 개시 시점 분산으로 세율 구간 관리가 가능.

8) Q&A로 마무리 — 핵심 쟁점만 콕

 

Q. 지금 당장 목돈이 필요한데도 연금이 유리한가요?
A. 아닙니다. 목돈은 필요한 만큼만 일시금으로 받고, 나머지를 연금으로 이전하세요. ‘부분 일시금 + 부분 연금’이 현실적인 최적해입니다.

Q. 연금저축·IRP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죠?
A. 55세 이전 퇴직이면 IRP만. 55세 이후라면 수수료·상품 라인업을 비교해 선택하세요. 계좌를 나눠서 운용자산 분산을 가져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Q. 연금 받다가 중간에 일시 인출하면?
A. 연금수령한도 초과 시 기타 소득세(16.5%) 등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연금한도 범위를 지키며 자유인출을 섞으세요.

Q. 운용은 어떻게?
A. 은퇴 초기에는 현금·예금·채권 비중을 높이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저비용 ETF로 분산. 원리금보장+저비용 인덱스 조합이 비용·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9) 한 문장 결론

당장 큰 지출이 없다면 ‘연금 수령’이 세금·건강보험·운용수익 모든 면에서 합리적입니다. 지금 할 일은 간단합니다. IRP/연금저축 점검 → 이전 → 지급설정. 제도는 이미 당신 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