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코스피 7500 가능하다” KB증권의 파격 전망…진짜 현실화될까?

by thisdaylog 2025. 11. 6.
반응형

KOSPI 지수가 급등하는 빨간 상승 그래프와 함께 ‘코스피 7500 간다? KB증권의 파격 전망’이라는 문구가 들어간 썸네일 이미지

 

 

“1985년 이후 40년 만의 초대형 강세장 진입됐다”
KB증권이 내놓은 분석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다. 단순한 반등을 넘어, 장기 상승장의 초입이라는 주장이다. 심지어 코스피 지수가 ‘7500’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등장했다.

11월 6일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이렇게 말했다.

“올해 한국 증시는 저물가·저금리·저환율이라는 ‘3저(低)’ 환경 속에서 밸류에이션이 확장되고 있다. 이는 1985년 이후 40년 만의 강세장 진입 신호다.”

그는 내년 코스피 목표지수를 **5000포인트**, 그리고 장기 강세 시나리오에서는 **최대 7500선까지 상승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 코스피 상승 근거 ① “실적 사이클 본격 시작… 반도체·전력이 끌어올린다”

 

 

KB증권은 내년 코스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6% 증가한 401조원(사상 최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반도체(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전력(한국전력)이 실적 개선을 주도할 것으로 봤다.

  • 📈 반도체 AI 수요 폭발 → 영업이익 급증
  • ⚡ 전력요금 정상화 → 한전 대규모 적자 축소
  • 🏗️ 원전·방산·건설 업종 수혜 지속

KB증권이 선정한 최선호 업종은 다음과 같다.

최선호 업종 대표 종목
반도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원전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방산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권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 코스피 상승 근거 ② “조정은 오히려 기회… 급반등 패턴 반복”

 

 

김 연구원은 “강세장에서 나오는 단기 조정은 되레 대규모 매수 기회가 된다”라고 강조했다.

1998~1999년 강세장 사례를 언급하며

"당시 코스피는 -22% 조정 후 2배 상승했다. 지금도 비슷한 흐름이 가능하다.”

📌 “AI 버블?” → “아직 아니다”

 

 

일부 투자자들이 제기한 ‘AI 버블論’에 대해선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 AI 관련 기업 펀더멘털이 과거 닷컴버블 시기와는 본질적으로 다름
  • 미국·한국 AI 투자 규모는 여전히 증가 중
  • 정부·기업·국가 정책이 AI 산업 확장에 맞춰 정렬되는 중

📌 “7500 가능?” 실제 투자자 반응 요약

 

 

  • “5000도 놀라운데 7500이면 코스피 역사 다시 쓰는 거 아님?”
  • “삼전·하이닉스·AI 관련주 들고 있으면 끝판왕 올 수도”
  • “강세장 온다는 분석이 올해 들어 유독 많다. 진짜냐, 또 속냐?”
  • “7500이면 집값·연금·부동산 흐름도 싹 바뀌는 대사건”

즉, 기대와 불신이 동시에 존재한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 지금 시장을 버블이 아닌 ‘초입 상승장’으로 보는 분석이 점점 늘고 있다는 것이다.


🔥 결론: 지금은 ‘팔 때’가 아니라 ‘판단할 때’

 

 

지금부터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는 지금, 강세장의 초입에 있는가? 아니면 마지막 불꽃을 보고 있는가?”

KB증권은 **전자(강세장 초입)**라고 말한다.
따라서 지금 시장에서 핵심 전략은 단순 매도·관망이 아니라, “실적 개선 수혜 업종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정비”가 될 것이다.


✅ 관련 FAQ (투자자 관심 질문)

 

 

Q1. KB증권이 말한 코스피 7500, 시기는 언제인가?
A. 특정 시점 명시는 없으며, 장기 강세장이 유지될 경우 가능한 상단이라는 분석이다. Q2. 지금 주식 팔아야 할까, 사야 할까?
A. 보고서 기준은 “조정은 매수 기회”이며, 특히 반도체·전력·방산 업종 비중 확대를 권고했다. Q3. AI 버블이라고 보는 증권사는 없나?
A. 일부 해외 IB는 “AI 과열”을 경고했지만,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아직 본게임 시작도 안 됐다”고 본다. Q4. 개인 투자자는 어떤 종목을 눈여겨볼까?
A. 보고서 최선호 종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국전력, 두산에너빌리티, 현대로템, 한국금융지주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