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 메신저라 불리는 카카오톡이 15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이용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특히 이번 변화가 메신저 본연의 기능 강화보다는 SNS형 피드 도입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업무용 메신저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사생활 노출이 과도하다”는 불만이 확산되고 있다.
1. 카카오톡 대개 편, 무엇이 달라졌나?
카카오는 9월 23일 ‘이프 카카오 25(If Kakao 25)’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카카오톡의 SNS·AI 결합 전략을 발표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 ‘친구탭’이다.
- 기존: 친구 이름이 목록 형태로 나열
- 변경: 사진·영상 중심의 타임라인형 피드 도입
즉,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유사한 ‘SNS 피드’ 형태로 바뀌었다. 이를 통해 친구들의 근황이나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지만, 메신저 본연의 기능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2. 이용자 불만: “업무용 메신저 맞나?”
SNS형 피드가 추가되면서 사생활 노출과 광고 문제가 불거졌다.
- “메신저에서 왜 이런 기능을 넣느냐”
- “업데이트 후 광고 배너가 커져 불편하다”
- “사생활이 업무 관계자에게 노출될까 두렵다”
특히 직장인 이용자들의 불만이 크다. 카카오톡은 국내에서 업무용 메신저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이번 개편으로 원치 않는 개인 사진과 영상이 업무 상대방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것이다.
3. 자동 업데이트 차단 팁
일부 이용자들은 아예 자동 업데이트 차단으로 개편을 피하려 하고 있다.
📱 안드로이드(삼성 갤럭시 등)
- 구글 플레이스토어 실행
- 카카오톡 검색 후 앱 상세 페이지 이동
- 오른쪽 상단 메뉴(점 3개) 클릭
- ‘자동 업데이트 사용 해제’ 선택
👉 카카오톡만 업데이트를 막을 수 있다.
📱 아이폰(iOS)
- 설정 앱 실행
- App Store 메뉴 선택
- ‘자동 다운로드 → 앱 업데이트’ 기능 해제
👉 단, 이 경우 카카오톡뿐 아니라 모든 앱 자동 업데이트가 꺼지므로 필요 시 수동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 다만 이러한 방법은 임시 방편일 뿐, 카카오가 강제 업데이트를 적용할 경우 결국 변경 사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4. 프로필 공개 범위 설정으로 사생활 지키기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는 대신, 프로필 공개 범위 설정으로 불필요한 노출을 줄일 수 있다.
- 게시물 공개: “친구에게만 공개” 선택 → 특정 그룹만 보기 가능
- 프로필 업데이트: “나만 보기” 활성화 → 친구 피드에 노출 차단
이렇게 설정하면 업무용으로 카카오톡을 쓰는 사용자도 사생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5. 메신저 정체성 vs SNS 확장
카카오의 이번 개편은 단순한 UI 변경이 아니라 서비스 방향성의 변화라는 점에서 논란이 크다.
- 긍정적 시각: 카카오톡을 메신저에서 종합 SNS 플랫폼으로 확장하려는 시도
- 부정적 시각: 메신저 본연의 목적을 잃고, 광고·노출 중심으로 변질
결국 카카오의 실험이 성공할지 여부는 이용자들의 반응과 카카오의 대응 전략에 달려 있다.
Q&A: 카카오톡 대개편, 이것이 궁금하다
Q1. 카카오톡 피드 기능은 무조건 노출되나요?
A1. 기본적으로 피드 형태가 적용되지만, 게시물 공개 범위(친구·전체·나만 보기)를 설정해 조정할 수 있다.
Q2. 자동 업데이트를 영구적으로 막을 수 있나요?
A2. 불가능하다. 구글·애플 정책상 강제 업데이트가 적용되면 결국 업데이트해야 한다.
Q3. 업무용으로 안전하게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프로필 업데이트를 ‘나만 보기’로 설정하고, 개인 게시물은 업무용 친구와 공유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Q4. 이번 개편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4. 2025년 9월 업데이트부터 순차 적용되고 있으며, 점차 모든 사용자에게 확대될 예정이다.
결론
카카오톡의 15년 만의 대개편은 단순한 UI 변화가 아니라, 메신저 앱의 정체성 변화라는 점에서 논란이 크다. 사용자들은 사생활 노출과 광고 증가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으며, 특히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직장인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자동 업데이트 차단이나 프로필 공개 설정 같은 ‘우회 꿀팁’이 공유되는 상황 자체가 이번 개편의 반발을 보여준다.
카카오가 메신저와 SNS의 경계를 허물려는 시도가 성공할지, 아니면 이용자들의 반발로 다시 방향을 조정할지는 앞으로의 대응에 달려 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민우·황민호, 전국투어 ‘2025 황금효선물’ 성황리 스타트! 대구·전주 공연 확정! 일정·예매 정보 총정리 (0) | 2025.09.26 |
---|---|
비대면 금융 확산, 은행 취업 ‘좁아지는 문’… 4대 은행 신입 채용 37% 줄어든 이유 (1) | 2025.09.26 |
대한항공 기내면세점 첫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 매출 1.5배 급증!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0) | 2025.09.26 |
트럼프가 반한 모나미 ‘서명용 펜’, 1000세트 한정 출시 (0) | 2025.09.26 |
40대부터 급증하는 심근경색, 매일 이것만 챙겨도 생명을 지킬 수 있다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