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고객부터 기존 고객까지, ‘추석 송편’으로 돈이 들어온다
올 추석, 모바일 금융 시장의 깜짝 화제는 케이뱅크의 ‘송편 선물하기’ 이벤트였다.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가족·친구 간 ‘디지털 명절 인사’ 문화를 만든 것이다.
이벤트 참여자에게는 최대 5만 원 현금 보상이 지급되며, 참여 방식 또한 간단하다.
케이뱅크는 “명절의 따뜻한 정을 나누는 취지로 마련했다”며
“앱 한 번만 눌러도 송편처럼 현금이 ‘톡’하고 들어오는 경험을 제공한다”라고 밝혔다.
🎁 송편 열어보기 한 번으로 최대 5만 원
이벤트는 2025년 9월 2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진행된다.
신규 고객은 케이뱅크 계좌를 개설한 뒤 이벤트 페이지에서
‘송편 열어보기’ 버튼을 클릭하고 본인 인증을 완료하면 된다.
보상은 최소 1,000원부터 최대 5만 원까지 랜덤 지급되며,
지급 시점은 행사 종료 후 일괄 처리된다.
🔸 신규 고객 보상 요약
- 계좌 개설 후 참여 가능
- 보상 범위: 1,000원~50,000원
- 지급 시점: 10월 24일 이후 순차 지급
이벤트 페이지에는 실제 송편 이미지를 활용해
“현금 송편을 열어보세요!”라는 감각적 문구가 삽입되어 눈길을 끈다.
🤝 친구 초대도 보상! ‘공유 링크’로 하루 10회까지
기존 고객도 참여 가능하다.
다만 본인의 링크로는 보상이 불가능하고,
다른 친구의 공유 링크를 통해서만 참여할 수 있다.
친구 초대 참여자는 하루 최대 10회까지 도전할 수 있으며,
각 시도마다 최소 1원에서 최대 1,000원이 랜덤으로 지급된다.
‘꽝’도 존재하지만, 참여만으로 재미와 기대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추천이 성공하면 추천자에게도 동일한 현금 보상이 제공된다.
추천 보상 또한 하루 최대 10회까지 인정된다.
🔸 기존 고객 보상 요약
- 다른 사람의 링크를 통해 참여 가능
- 보상 범위: 1원~1,000원
- 추천 성공 시 추가 현금 보상
💸 진짜 송편 대신 ‘현금 송편’… 모바일 금융의 세대교체
이번 이벤트는 단순한 마케팅 이벤트를 넘어
‘모바일 금융의 세대교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전통적인 명절 인사인 송편 나눔을 디지털로 옮겨
“보내기 한 번으로 현금이 전달되는 명절”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만든 것이다.
젊은 세대는 이를 “귀엽고 실용적인 명절 선물”이라 평가했고,
중장년층 사용자들은 “복잡하지 않고 바로 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다”라고 반응했다.
이처럼 케이뱅크는 금융 이벤트를 ‘감정형 UX(사용자 경험)’ 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자율 경쟁’보다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 전략이다.
📱 참여 방법 정리
1️⃣ 케이뱅크 앱 또는 공식 홈페이지 접속
2️⃣ ‘송편 선물하기’ 이벤트 페이지 선택
3️⃣ ‘송편 열어보기’ 버튼 클릭
4️⃣ 본인인증 후 즉시 결과 확인
5️⃣ 신규 고객은 계좌 개설 후 참여 가능
6️⃣ 기존 고객은 친구 링크를 통해 하루 최대 10회 참여 가능
⚠️ 단, 계좌 미보유·입금 제한 등 조건이 있으면 보상 지급이 불가하다.
🎉 케이뱅크의 전략, “재미로 시작해 고객으로 남긴다”
케이뱅크는 매년 명절마다 독창적인 프로모션을 선보여왔다.
이전에는 ‘복주머니 받기’, ‘용돈 송금 인증 이벤트’ 등을 진행했는데,
이번 ‘송편 선물하기’는 참여성과 보상성을 결합한 진화된 형태다.
금융 앱의 이용률은 대체로 이자율 이벤트 때 급증하지만,
이번 행사는 ‘이벤트 참여 → 앱 체류 → 신규 계좌 개설’로 이어지는
사용자 전환률(Conversion Rate) 향상 효과를 노리고 있다.
🌕 추석 연휴, 가족과 친구를 잇는 새로운 금융 문화
예전에는 ‘현금 봉투’가 정이었다면,
이제는 링크 하나로 ‘현금 송편’을 주고받는 시대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문화가 정착되면서
‘디지털 명절 선물’ 트렌드는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고객이 앱을 통해 소액이라도 즐겁게 혜택을 받으며
가족, 친구와 웃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결론
케이뱅크의 ‘송편 선물하기’ 이벤트는
금융 혜택과 놀이 요소가 결합된 MZ형 금융 캠페인의 대표 사례다.
참여의 문턱을 낮추고, 보상을 게임처럼 설계한 덕분에
이벤트 시작 직후부터 SNS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송편을 열면, 그 안에는 돈이 들어 있다.
명절의 따뜻함을 디지털 송편 한 알로 담아낸 케이뱅크,
그들의 다음 명절 이벤트가 벌써부터 기대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침으로 끝나지 않는다”… 독감이 치매를 부를 수 있다고? (0) | 2025.10.10 |
---|---|
가왕 조용필, 28년 만의 TV콘서트로 추석을 물들이다 (0) | 2025.10.10 |
“구혜선, 배우 아닌 발명가로 돌아왔다… ‘납작 헤어롤’로 특허까지” (0) | 2025.10.10 |
“권력보다 양심” 트럼프 제치고 노벨평화상 품은 마리아 마차도 (0) | 2025.10.10 |
2025 여성 건강지원금 신청방법·조건·혜택 총정리 (0)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