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전체 ETF 중 단 0.9%만 손실… 개별주보다 수익 내기 쉬웠다? 실제 데이터가 말해준다

by thisdaylog 2025. 11. 1.
반응형

“ETF 수익률 상승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개별주 대비 수익률 우위 강조한 블로그 썸네일”

요즘 증시가 뜨겁습니다. 코스피 4100 돌파, 코스닥 900선 안착. "모두가 웃는 장"처럼 보이지만, 막상 내 계좌에선 수익률이 지지부진하거나 빨간불 대신 파란색이 가득하다면 억울하고 답답하기 마련이죠. 그런데 최근 금융투자업계는 개별 종목보단 ETF 투자가 개인 투자자에게 더 유리하다고 말합니다.

관건은 바로 이것입니다. “ETF는 떨어질 확률이 적고, 오를 확률이 높다.”
과연 이 말, 진짜일까요? 실제 수익률 데이터를 들여다본 결과, 생각보다 명확한 차이가 확인됐습니다. 오늘은 이 결과를 ‘이야기하듯이, 쉬운 설명’으로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어떤 ETF가 유망할지, 개인 투자자가 왜 ETF를 잘 활용해야 하는지도 짚어보겠습니다.


📈 전체 ETF 중 단 3개만 손실… 개별 주식은 40% 가까이 하락

올해 국내 주식형 ETF 가운데 연중 수익률을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ETF는 366개였고, 이 중 레버리지·인버스를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건 327개였습니다.

그중 324개(99.1%)는 전년 대비 주가가 상승했어요. 손실을 기록한 ETF는 단 3개에 불과했습니다. 모두 게임 산업 관련 ETF였죠.

반면, 개별 종목들은 어땠을까요?
- 코스피 951개 종목 중 284개(약 30%)가 하락
- 코스닥 1729개 종목 중 693개(40%)가 하락

즉, ETF를 들고 있었다면 손실 확률은 1% 미만이었고, 개별 종목을 골랐다면 30~40% 확률로 손실 상태였을 가능성이 컸다는 뜻입니다. 같은 시장에서도 이렇게 큰 차이가 나다니, 놀랍지 않나요?


💡 그럼, 왜 ETF가 더 안정적이고 수익도 높았을까?

ETF는 “기초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지수 안에는 여러 종목이 담겨 있어, 개별 종목과 다르게 리스크가 분산됩니다. 특히 올해는 대형주 위주의 상승장이 펼쳐졌습니다. 코스피를 대표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종목이 크게 오르면서 ETF 수익률도 동반 상승한 거죠.

올해 한국 증시 흐름을 보면 증시는 오르는데, 정작 내 계좌는 파란색인 분들도 많았을 거예요.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 코스피지수는 사상 최고치인데, 등락비율은 88%였습니다. 10월 31일 기준 상승 종목보다 하락 종목이 더 많았다는 뜻이죠. 그만큼 ‘한정된 종목이 주도’한 장세였다는 겁니다.

결국, 상승 종목 몇 개만 오르는 시장에서 그 종목을 정확히 맞추는 건 어렵다는 게 이번 데이터의 핵심입니다.


📊 국내 ETF, 개별 종목보다 평균 수익률 2배 이상 높았다

단순 평균 수익률을 비교해 볼까요?

  • 코스피 개별 종목 평균 상승률: 27.2%
  • 코스닥 개별 종목 평균 상승률: 21%
  • 국내 주식형 ETF 평균 상승률: 62.8%

즉, 올해 한국 시장에서 개인이 개별 종목에 올인한 것보다 ETF가 평균적으로 2배 넘는 수익률을 냈습니다.

특히 PLUS K방산 ETF는 무려 300% 이상 상승했고, ‘HANARO 원자력’ ‘TIGER 200 중공업’ 등도 190%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텐배거”로 회자된 원익홀딩스조차 1000%가 넘게 오르긴 했지만, 그 외에도 ETF 안에 이런 ‘우량 투자 기회’가 숨어 있던 거죠.


📌 ETF는 “내 연금 계좌에서 더 힘을 발휘한다”

최근엔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연금 계좌로 ETF 투자하라”는 화두도 떠오르고 있습니다. 삼성증권 기준, 개인연금 계좌에 ETF를 보유한 고객이 1년 만에 2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납니다. 단 1년 만에 16만 명 → 35만 명으로 폭증. 1인당 보유액도 1900만 원 → 305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반 위탁계좌에서는 인버스·레버리지도 사고팔 수 있지만, 연금 계좌에서는 ☑️ 레버리지 불가 ☑️ 인버스 불가의 조건이 있습니다. 결국 자연스럽게 안정형 ETF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만들어진다는 이야기죠. 그러니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더 안정적으로 높게 나오는 흐름이 생기는 겁니다.


⚠️ 그럼에도 주의할 점은?

물론 ‘모든 ETF가 무조건 좋다’는 뜻은 아닙니다. 다음 상황에서는 ETF가 수익을 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 시장 전체가 장기 하락할 때
  • 인버스(하락에 베팅) ETF에 투자했다면
  • 특정 테마(게임·메타버스 등)에서 외면받을 수 있음

그런데도 ETF는 시장을 이기려는 개별 종목 투자보다, 시장과 함께 가는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에게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겁니다.


🗝️ 결론: “텐배거는 꿈이지만, 60% 수익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지금 아니면 안 될 것 같다’는 포모(FOMO) 심리가 들수록 무작정 개별 종목에 올인하고 싶어 집니다. 하지만, 매년 수익 내는 개별 종목을 찾아내는 건 전문가조차 어렵습니다.

차라리 ETF 안에서 현재의 대형주 랠리, 미래 유망 섹터(방산·로봇·원전·2차 전지)를 폭넓게 담아가는 전략은 “수익은 따라오고, 손실 리스크는 낮추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 ETF 시장은 커지고,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더 다양해질 확률이 큽니다. 이 흐름 속에서 꾸준히 ETF에 눈을 돌려보는 건 어떨까요? 📈

 


📌 FAQ (FAQ 스키마 JSON-LD 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