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샤넬 vs 다이소?” 가성비 끝판왕 다이소 뷰티 전략의 비밀

by thisdaylog 2025. 9. 7.
반응형

고물가 시대, 이제는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이소는 여전히 소비자들의 ‘필수 쇼핑 코스’로 자리 잡고 있죠. 생활용품뿐 아니라, 최근에는 뷰티 제품으로까지 그 인기가 확장되면서 SNS와 유튜브에서 새로운 ‘뷰티 핫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얼마 전 한 뷰티 인플루언서가 다이소 립 앤 치크 제품을 사용하며 던진 질문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 “뭐가 샤넬이고 뭐가 다이소일까요?”

그는 양쪽 볼과 입술에 각각 샤넬과 다이소 제품을 바르고, 시청자들에게 맞추어보라고 유도했습니다. 놀랍게도 많은 구독자들이 ‘오답’을 외쳤죠. 즉, 겉으로 보기에 큰 차이가 없었다는 뜻입니다. 이 장면 하나만으로도 다이소가 뷰티 시장에서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다이소는 어떻게 ‘저렴이의 대명사’에서 샤넬과 비교될 정도의 화장품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


다이소 화장품, 어디서 시작됐나?

다이소가 화장품을 판매하기 시작한 건 2009년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기초 화장품 위주였지만, 2022년에는 네이처리퍼블릭의 ‘식물원’ 브랜드가 입점하면서 색조·기능성까지 카테고리가 확장되기 시작했죠.

그리고 지금은 다이소가 ‘뷰티 맛집’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매대가 커지고, 온라인에서도 화장품 관련 콘텐츠가 꾸준히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생활용품 매장을 넘어, 이제는 **‘뷰티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는 셈입니다.


소비자가 다이소 뷰티를 찾는 이유

직접 다이소 뷰티 제품을 사용해본 20대 여성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가장 먼저 나오는 장점은 단연 가격 경쟁력입니다.

  • 유명 브랜드 제품을 다이소라는 신뢰할 수 있는 채널에서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
  • 기초, 색조, 기능성 화장품까지 카테고리 다양성이 뛰어나다.
  • SNS에서 입소문을 타며 **‘저렴이 대체템’**으로 떠오른다.

특히 학생이나 사회 초년생처럼 화장품에 많은 비용을 쓰기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에게 다이소는 ‘믿고 갈 수 있는 뷰티 코너’가 된 것이죠.


오해와 진실 – 뷰티가 매출 1위라고?

최근 일부 매체에서는 “다이소의 최대 매출 품목이 뷰티 카테고리”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성다이소 측에 따르면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다이소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주방, 생활, 청소 등 3만여 가지 이상의 품목을 다루고 있으며, 특정 카테고리에 편중된 구조가 아닙니다. 뷰티 매대가 넓어진 이유 역시 단순히 ‘전략적으로 뷰티에 집중’했다기보다는, 시대 흐름과 소비 트렌드에 맞춰 자연스럽게 확장한 결과라는 설명입니다.

즉, 다이소는 특정 분야만 파고드는 전문 매장이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거의 모든 것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생활형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격의 비밀 – 어떻게 이렇게 싸게 팔 수 있을까?

다이소 뷰티 제품 가격을 보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 프릴루드딘토 파운데이션: 5,000원 (시중가 3만6천 원)
  • VT 리들샷: 3,000원 (시중가 3만2천 원)
  • 에뛰드 하이라이터: 3,000원 (시중가 1만8천 원)

이 정도면 ‘가성비 끝판왕’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닙니다. 그렇다면 다이소는 어떻게 이런 가격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1. 정찰제와 균일가 정책
    • 다이소는 총 6가지 가격(500원,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만 운영합니다.
    • 수년째 가격 인상이 없다는 점에서 소비자는 안정적인 신뢰를 가질 수 있습니다.
  2. 포장 최소화 & 단순화
    • 제품의 본질적 기능 외에 불필요한 포장, 화려한 디자인을 최소화했습니다.
    • 화장품 브랜드가 비용을 쓰는 ‘마케팅·광고·포장비’를 과감히 줄여낸 것이죠.
  3. 유통 구조의 차별화
    • 다이소는 자체 제조가 아닌 100% 사입 유통 방식을 씁니다.
    • 상품을 대량으로 사입해 물류센터를 거쳐 전국 매장에 배포, 박리다매 구조를 실현합니다.
    •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진을 붙이지 않고, 이미 정해진 균일가에 맞춰 상품을 기획합니다.

결국, 다이소의 유통·가격 전략은 **‘필요 없는 것을 빼고, 꼭 필요한 것만 남긴다’**는 실용주의 철학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다이소 뷰티, 앞으로의 가능성

뷰티 시장은 늘 새로운 브랜드와 제품이 쏟아져 나오는 레드오션입니다. 그런데도 다이소가 이 시장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가격’과 ‘접근성’**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누구나 근처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5000원 이하로 화장품을 부담 없이 체험할 수 있다.
  • SNS와 입소문을 통해 ‘재미’와 ‘발견의 즐거움’을 제공한다.

앞으로 다이소가 단순히 저렴한 제품을 넘어, 소비자의 일상 속 뷰티 큐레이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충분해 보입니다.


마무리 – 다이소는 왜 ‘가성비 끝판왕’일까?

다이소는 단순히 가격만 싸다고 해서 주목받는 게 아닙니다.

  • 균일가 정책으로 소비자가 믿고 선택할 수 있는 안정성을 제공
  • 불필요한 포장과 광고 제거로 본질적인 가치를 유지
  • 유통 혁신으로 합리적인 가격 실현
  • SNS와 소비자 트렌드 반영으로 재미있는 경험 제공

결국, 다이소는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의 심리’를 정확히 파악했습니다. “싸지만 품질은 괜찮다”라는 인식을 심어주며, 단순 생활용품을 넘어 뷰티와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해 가고 있습니다.

다음에 다이소 매장을 방문한다면, 주방용품이나 문구류만 둘러보지 말고 뷰티 코너도 꼭 한번 들러보세요. 어쩌면 여러분도 **“샤넬 vs 다이소, 뭐가 뭐지?”**라는 즐거운 혼란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반응형